교육지원사업
홈 > 교육복지 > 교육/인구 > 교육지원사업
인쇄
QR코드 보기
- QR코드 서비스
-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시면
현재 페이지로 바로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영광군 인재육성기금
추진목적
영광군 인재육성기금 300억원 조성을 통한 이자수입금으로 관내 초‧중‧고‧대학생에게 장학금 및 우수교사‧우수학교 지원을 통한 인재육성
추진개요
- 기금 목표액 : 300억원
- 기금 조성액 275억원 (2020년 10월 기준)
※ 1997~2020까지 장학금 지원현황 : 3,684명(학생 3,397, 교사 287), 학교 247 / 6,616백만원
2020년 기금 지원현황
- 장학금: 2억원(학생 172명, 교사 13명)
- 우수학생 장학금 : 124명
- 복지 장학금 : 48명
- 우수교사 지원금 : 13명
- 교육시책 프로그램 : 2억원(교육지원청, 21개 학교)
외국어 특성화교육 강화를 통한 글로벌 인재양성 교육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지원 - 초중고 29개교, 원어민 교사 18명
외국어체험센터 운영
- 추진목적
- 학생들의 현지 및 생활외국어 활용능력 향상과 국제적 감각 배양
-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를 수 있는 환경 조성
- 교육대상 : 초등 3 ~ 6학년, 교사
- 사업개요
- 위 치 : 영광초등학교내 영광외국어체험센터(2005년 조성)
- 교 사 수 : 4명(담당교사 1, 강사 1, 원어민 2)
- 체험코너 : 13개소(가변형 5개 포함)
- 예 산 액 : 130,000천원
- 프로그램 : 일일체험학습반, 방과후반, 토요일반, 여름․겨울방학캠프
글로벌 문화체험 지원
선진 해외문화 체험 기회를 통한 견문확대 및 학생들의 학습의욕 고취를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
- 대 상 : 관내 중학교 3학년(7개교)
- 기 간 : 6월 ~ 9월 중 3박5일
- 장 소 : 중국, 싱가폴 등
- 내 용 : 해외투어를 통한 문화체험 및 해외문물 견학
- 지금까지 추진현황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테이블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문화체험 지원현황표 : 구분(연도),학교,학생수,기간,사업비,국가별 지원현황 정보가 있습니다.
구분 |
학교 |
학생수 |
기간 |
사업비(백만원) |
국가 |
2019년 |
영광중 외 6개교 |
328 |
7~9월 |
555 |
중국, 러시아, 싱가폴 |
2018년 |
영광중 외 6개교 |
326 |
6~9월 |
555 |
싱가폴, 말레이시아 |
2017년 |
영광중 외 6개교 |
348 |
6~9월 |
600 |
싱가폴, 말레이시아 |
2016년 |
영광중 외 6개교 |
396 |
10~11월 |
615 |
싱가폴, 말레이시아 |
꿈과 끼를 키우는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
체력증진 ‘수영 수업’ 지원
청소년 기초체력 향상으로 건강한 신체와 바른 인성을 함양하여 다양한 여가생활과 행복한 학교생활 지원
- 지원대상 : 관내 초등학교 3학년
- 예 산 액 : 25,000천원(강사비, 운영비 지원)
- 운영방법 : 기초수영, 응급수영 및 수중 안전사고 예방법 등
특성화 고등학교 지원
특성화 고등학교 취업률 향상을 위한 자격증 취득 교육 지원
- 예 산 액 : 100,000천원
- 사업내용 : 취업률 향상 프로그램(실습 재료비, 기업체 탐방경비 등)
영광군 혁신교육지구
- 추진목적
- 경쟁과 효율이 아닌 협력과 상생으로 학교 구성원의 자율성과 자발성을 존중하여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 스스로 재능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
-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육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에 영광군이 적극 지원
- 사업기간 : 2014. 3. 1 ~ 2018. 2. 28(4년), 2018. 3. 1 ~ 2020. 2. 28(2개년 연장지원), 2020.3.1.~2023. 12. 31.(4개년 연장)
- 사업예산 :400백만원/연(군 50%, 도교육청 50%)
- 사업대상 : 30개교(유 1, 초 13, 중 10, 고 6)
- 사업주관 : 영광 교육지원청
- 사업내용 : 미래인재육성 기반 조성, 새로운 학교문화, 교육공동체 협력체제 구축
- 학 생 : 자기주도 학습, 진로교육, 동아리 활성화
- 학 교 : 읍 집중화 개선을 위한 거점학교 육성, 학교별 특성화 교육, 통학 편의 제공
- 교 사 : 직무연수, 자율연구, 학습공동체 구축, 수업경감을 위한 인력지원
- 학부모 : 교육공동체 구성, 교육여건 개선, 다문화 학생 지원, 인성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