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업기술

내용 : 농업기술 게시판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등의 내용 페이지입니다.
제목 토마토 재배기술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작성일 2014-02-18

출처 : 농촌진흥청

 

3. 재배기술

3-1. 정식

3-1-1. 거름주기

시비량은 포장을 만들기 전에 토양분석 결과에 의하여 시비처방을 받아 시비한다. 퇴비와 석회는 밭을 경운하기 2~3주 전 밭 전면에 골고루 펼쳐둔다. 화학비료는 이랑 만들기 5-7일전에 시용한다. 인산은 모두 밑거름으로 시용하고, 질소와 칼리는 60%는 기비로 주고 나머지 40%를 2~3회로 나누어서 웃거름으로 준다.

  • 표 1. 시설재배 토마토 시비 기준
  • (성분량 : ㎏/10a)
비종, 계. 기비, 추비, 시비방법으로 이루어진 표입니다.
비종 기비 추비 시비방법
질소 20.4 11.6 8.8
  • 추비 주는 횟수
    - 질소 : 3회
    - 칼리 : 3회
  • 퇴비, 석회, 붕사는 실량
인산 10.3 10.3 0
칼리 12.2 4.1 8.1
퇴비 2.000 2.000 0
석회 200 200 0
붕사 1-2 1-2 0
시기 1 정식전 10-15일  정식후 20-25일 
  • 표 2. 시설재배 방울토마토 시비 기준
  • (성분량 : ㎏/10a)
비종, 계. 기비, 추비, 시비방법으로 이루어진 표입니다.
비종 기비 추비 시비방법
질소 22.6 11.3 11.3
  • 추비 주는 횟수
    - 질소 : 3회
    - 칼리 : 3회
  • 퇴비, 석회, 붕사는 실량
인산 10.6 10.6 0
칼리 11.9 3.6 8.3
퇴비 2.000 2.000 0
석회 200 200 0
붕사 1-2 1-2 0
시기 - 정식전 10-15일  정식후 20-25일 

3-1-2. 멀칭

투명비닐은 흑색비닐보다 정식초기의 지온을 2~3℃정도 높여 주지만, 흑색비닐의 경우는 고온기 때에 투명비닐보다 지온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배중의 잡초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비닐의 두께는 0.02~0.03mm가 적당하며, 저온기재배의 경우는 정식하기 3~4일전 멀칭을 하여 지온을 상승시켜 정식시 묘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한다.

3-1-3. 정식 전 묘 굳히기

기온이 낮은 시기에 정식 할 경우 정식 10일 전부터 모종이 아주심기 할 포장의 조건에 잘 적응하도록 묘 굳히기를 한다. 육묘상의 온도를 정식할 포장의 온도와 비슷하게 관리하며 가급적 물을 적게 주어 묘가 튼튼해지도록 한다.

3-1-4. 정식시기

정식에 적당한 묘는 본엽이 7~9매 전개되고 제1화방의 꽃이 약 10% 정도 개화된 묘가 적당하다. 그러나 고온기나 초세가 약한 경우, 그리고 장기재배를 하고자 하는 억제작형에서는 본잎 5~6매의 어린묘가 유리하다.

표 3. 사육밀도가 수정률 및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작형, 육모일수, 본잎 전개잎수, 제1화방상태로 이루어진 표입니다.
작형 육모일수(일) 본잎 전개잎수(매) 제1화방 상태
촉성재배 50~60 10~11 1~2개 꽃이 개화 
반촉성재배 65~75 10~11 1~2개 꽃이 개화 
억제재배 30~40 5~6 꽃망울 상태

3-1-5. 정식 방법

이랑은 토양온도와 배수를 좋게 함과 동시에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25~30cm 이상 높이는 것이 좋다. 정식 깊이는 저온기에는 기온보다 토양온도가 높기 때문에 약간 깊게 심고, 고온기에는 약간 얕게 심어야 뿌리의 발육이 좋다.

3-1-6. 정식 거리

심는 거리는 품종, 작형이나 토양의 비옥도, 작업관리의 편리성, 수확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이랑은 2조식이 관리하기 편리하며 이랑간격은 1백 50cm전후에 줄사이 40-50cm, 포기사이 35~40cm정도이다. 같은 면적에 같은 주수의 토마토를 심을 경우 이랑사이를 넓게 하고 주간거리를 좁게 하는 것이 통풍, 수확 및 농약살포 등 작업관리상 유리하다.

3-2. 본포관리

3-2-1. 웃거름

웃거름 주는 시기는 제1회째는 제3화방의 꽃이 피고 제1화방의 과일이 탁구공만 할 때이다. 그 후에는 20~25일 간격으로 행하며, 수확종료 30일 전에 시용을 끝낸다. 1회 시용량은 질소와 칼리의 성분량으로 2~3kg 정도가 적당하고 액비로 시용할 때는 1kg (총 비료량 1g/물 1리터)이 적당하다.

3-2-2. 정지 및 유인

가장 일반적인 정지법은 주지 1본에 연속으로 착과시키는 주지 1본정지법이다. 보통 생장점이 지주의 정점에 달하면 마지막 화방위의 2~3엽을 남기고 적심하는 직립유인법을 많이 사용한다. 장기재배에서는 경사유인정지법, 직립U형유인정지법 및 줄기내림유인정지법 등 원가지 1본을 유인하는 방법과 곁순을 이용한 연속적심정지법 등을 사용한다.

3-2-3. 곁순따기와 순지르기

제1화방이 꽃필 무렵부터 각 잎의 겨드랑이에서 나오기 시작하는 곁순은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따준다. 그러나 초세가 약해졌을 때는 발생된 측지의 제거를 늦게 하고, 생장이 왕성할 때는 빨리 제거한다. 순지르기는 수확 종료 예정 50 일전에 하는데 마지막으로 수확할 화방의 위에 있는 잎 2~3개를 남기고 잘라준다. 적기에 적심하는 것은 착색과 과실비대를 촉진한다.

3-2-4. 잎 따주기

과일을 수확한 후 밑에 있는 누렇게 된 잎이나 병든 잎은 제거하여 통풍을 좋게 함으로써 병충해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이 좋다. 또 식물체가 지나치게 과번무하여 광선투과나 통풍이 불량하여 착과 및 비대가 불량한 경우 적엽으로 초세를 다소 약화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잎 제거는 한 잎 전체를 따지 말고 겹치는 잎의 선단부를 1/3 정도 잘라주는 것이 토마토의 생육상 유리하다. 그러나 한꺼번에 과도한 적엽은 생육리듬을 깨뜨리고 과일비대를 나쁘게 하고 열과가 발생하기 쉽다. 1회에 2~3매 이상 적엽하지 않도록 한다.

3-2-5. 적화 및 과일 따주기

화방 당 적정 착과수를 확보하고 여분의 꽃은 꽃망울 시기에 따주어 수량 및 품질의 안정을 꾀한다. 과일 따주기의 정도는 품종이나 재식밀도, 영양조건 및 착과수에 따라서 다르다.

3-2-6. 탄산가스 관리

탄산가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