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업기술

내용 : 농업기술 게시판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등의 내용 페이지입니다.
제목 벼 주요 병해 및 방제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작성일 2014-02-12


도열병(稻熱病)

벼 도열병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쌀을 생산하는 모든 지역에서 피해를 많이 받고 있는 매우 중요한 병이다. 병원균은 벼의 모든 부분을 침입할 수 있는데 침입부위에 따라 잎도열병, 이삭목도열병, 이삭가지도열병, 벼알도열병, 마디도열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발병조건

○ 여름철 저온 및 일조 부족
○ 대기중 높은 습도 및 장시간 이슬 지속
○ 출수기 이후 잦은 강우 → 이삭도열병
○ 잎도열병은 사질토, 이삭도열병은 점질토에서 발병 용이
○ 질소질비료 과용
○ 이병성 품종 재배
○ 만식재배
도열병 도열병 도열병 도열병

증 상

○ 모도열병은 도열병에 감염된 벼 종자를 사용할 때 발생되며, 이 때의 병징은 싹의 기부나 중앙부위에 갈색의 병반이 나타나며 심할때는 말라 죽는다. 일단 어린모의 잎에 병반이 생기면 못자리 안의 고온 다습한 조건 때문에 병이 빠르게 진전되기 쉽다.

○ 잎도열병은 벼의 잎에 초기에 암록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이것이 차차 커져 병반 내부는 회백색, 주위는 적갈색으로 방추형 또는 장방추형의 병반이 되고, 심하게 되면 병반들이 합쳐져서 잎이 말라 죽는다.

○ 이삭도열병은 이삭목이 도열병균의 침입을 받아 양분과 수분의 공급이 차단되어 이삭이 수정되지 않고 백수가 되는데, 증상은 처음에는 회백색을 띄다가 이삭목을 중심으로 점차 검게 된다.

○ 때로는 줄기사이의 마디가 도열병균의 침입으로 마디가 검게되고 심하면 부러지기도 한다. 병반 모양이나 색깔은 벼의 품종·재배법·병원균·기상 상황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특히 회백색 또는 암록색의 큰 반점이 생기면 병이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방 제

○ 만기 이앙을 지양한다
○ 밀식을 지양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한다.
○ 3요소를 균형있게 시비하고,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 냉수는 우회수로 돌려대기로 수온을 올려준다.
○ 이병물을 제거한다.
○ 내병성 품종을 선택 재배한다.
○ 건전종자를 선택하고 종자소독을 철저히 한다.

- 종자소독요령

약 제 명(상표명)
사용
적기
물 20ℓ당
사용약량
사용량
사용방법
프로라츠 유제(스포탁)
침종전
24시간
침지
10㎖
희석액20ℓ에 볍씨20ℓ 침지소독후 맑은물로 씻은 후 침종한다.(스포탁,트리후민)
리프졸 유제(트리후민)
50㎖
지오람 수화제 (호마이,금나락)
67-100g
침지소독후 그늘에서 말린 후 침종한다.(호마이,금나락,벤레 이트티,큰나락)
베노람수화제
(벤레이트티, 큰나락)
지오람 분의제(호마이)
침종전
습분의
-
30g/종자1kg 촉촉한 볍씨에 약이 골고루 묻도록 잘 섞은 다음 그늘에서 말린후 침종한다.
지오람 수화제
베노람 수화제
-
5g/종자1kg
자바라 종자처리수화제
파종전 종자 습분의 처리
-
10g/종자1kg 침종된 볍씨의 물기를 어느 정도 제거한후 약을 넣고 골고루 섞고 최아시 밀봉하지 않는다.

○ 방제적기에 침투이행성 약제나 입제 농약을 살포한다.
구 분
약 제 명
적 용 약 제
상자처리
입제
베나솔 입제(오리자, 더존, 비온디)
이소란 입제(후치왕), 빔 입제
수화제
트리졸 수화제(빔,으뜨미, 백만석, 도열탄)
본  답
유제
부라딘 액제 (부라에스),아이비 유제(키타진, 방글, 풍마내), 아이비·파이론 유제 (쾌지나), 에디펜 유제 (히노산, 나도산), 이소란 유제(후치왕), 이소브라 유제 (후치에스),
수화제
라브사이드·바리신 액상수화제(두루처), 베노밀 수화제 (벤레이트, 두루다, 다코스), 이소란·트리졸 수화제(다수왕, 신통단), 지오판 액상수화제(코빈, 바로너), 잘자바 수화제 (문도멸), 트리졸 수화제,액상수화제(빔,으뜨미, 백만석, 도열탄), 트리졸·아이비 수화제(키타빔, 비치나), 파이론 수화제,입제 (코라톺), 훼림존·라브사이드 수화제, 훼림존·트리졸 수화제 (논브라), 훼림존·라브사이드 수화제, 펜시쿠론·트리졸 수화제 (아무러), 포리옥신디·에디펜 수화제 (히노포리)
입제
베나솔 입제(오리자, 더존, 비온디), 아이비 유제, 입제 (키타진, 방글, 풍마내),아이비·파이론 입제(쾌지나), 이소란 입제 (후치왕), 이소란·트리졸 수화제, 입제 (다수왕, 신통단), 파이론 입제 (코라톺)



잎집무늬마름병(紋枯病)

이 병은 벼를 재배하고 있는 곳이면 세계 어느 지역이든지 도열병 다음으로 발생이 많은 중요한 수도 병해중의 하나이다. 이 병은 재배시기가 앞당겨져 고온기인 8월 상·중순에 개화 결실하는 시기에 주로 발생하며 질소 시비과다, 따른 밀식 및 과번무 등으로 병발생이 심해진다. 특히,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면적이 늘어나면서 병해에 의한 피해가 크지만, 농민 중에서는 풍년병이라고 믿고 있어 방제에 소홀할 뿐 아니라 피해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형편이다.

발병조건

○ 고온다습 ○ 질소질 비료 과용 ○ 밀식재배

병 징
잎집무늬마름병
○ 잎집의 표면에 회록색 또는 암회색의 원형 및 부정형의 구름과 같은 반문이 생기고, 이것이 점차 회백색이 되면서 가장자리가 담갈색을 띤다.

방 제

○ 밀식을 피한다.
○ 질소질비료를 과용하지 않는다.
○ 논 써레질후 논 한쪽 구석에 몰린 균핵을 제거한다.
○ 발병주율 20% 일 때 방제한다.
○ 적기에 약제 방제를 철저히 한다.
  잎집무늬마름병 전용약제중 유제, 액제, 수화제를 살포할 때는 약액이 잎집 에 충분히 묻도록 살포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에 개발된 혼합약제를 살포 시는 잎집무늬마름병 사용적기에 맞추어 살포해야만 방제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다.

표.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약제의 약제유형별 분류
구    분
약 제 명 (상표명)
  유제(액제)   네오아소진, 바리문, 아문다, 몬카트, 안빌
  수화제(액상수화제)   몬세렌, 갈무리, 문고박사, 나이샷, 크린문, 두루처, 아미스타, 문도멸, 그래탐, 영일바이오, 마디다
  입제   키타진, 방글, 풍마내, 도열탄, 수매왕, 그래탐
  분제   논사, 바리문, 아문다, 영일바이오



흰잎마름병(白葉枯病)

흰잎마름병
흰잎마름병
이 병은 세균에 의한 병으로 보통 출수기 전후에 나타나지만, 상습 발병지나 발생이 심한 해에는 본답 초기에 발병하며, 드물게는 묘판에서도 발병된다. 저습지대의 관수 피해 논과 해안지대의 풍수해 피해지역에서 심하게 발생하 며, 피해가 심할 경우 20∼30%의 수량감소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발병 조건

○ 이병성 품종의 재배
○ 저습지대 관수피해 논
○ 풍수해 피해지역
○ 질소질 비료 과용

병 징

○ 묘판이나 이앙직후에 발생하는 "크레섹"이라는 급성형 병징은 수도체내에서 세균이 도관을 막으므로 상부의 잎이 갑자기 말리면서 고사하게 되며 이는 주로 이병성 품종이거나 병원균의 농도가 높을 때 볼 수 있는 증상이다.
○ 일반적인 병징은 출수기를 전후한 시기에 주로 잎에 발생하게 되는데 처 음에는 잎의 선단부나 가장자리에 황록색의 수침상 병반이 생기고 이것이 더 욱 진전되어 줄무늬를 이룬다.
○ 이병엽은 회백색으로 말라 죽게되며, 특히 태풍후나 침수지에서는 병징이 급격히 진전된다.

방 제

○ 볍씨 소독을 철저히 하고, 기계적인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 유기물 시용하고 질소질 비료 과용을 금지한다.
○ 병원균의 월동처인 논 주변의 잡초 제거한다.
○ 발병상습지 및 이병성 품종을 심은 논은 적용약제를 예방위주로 살포하여 주고 폭풍우가 지나간 다음이나 침수후에도 반드시 약을 살포하여 방제해야 한다.

표. 흰잎마름병 약제 사용요령
약 제 명
사용적기
물20ℓ당 사용약량
300평당 살포량
주의사항
테 람(수)

훼나진(수)
못자리
20g
80ℓ
-테람 수화제는 일품벼에서 약해발생하며 출수후 살포시 약해우려가 있음.
-훼나진 수화제는 이삭팰 때 약해우려가 있음.
본논초기
20∼29g
80∼100ℓ
본논중기이후
20∼29g
140∼160ℓ



줄무늬잎마름병 (縞葉枯病)

이 병은 애멸구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였지만, 최근에는 전국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이 병을 매개하는 애멸구는 논둑의 잡초, 밀밭, 보리밭, 자운영밭 등에서 월동하고 봄에 못자리에 나타나 병원바이러스를 매개한다. 보통 모내기 이후에 발생하고 특히 분얼기에 발생이 많다. 파종기나 이앙기가 빠르거나, 파종량이 많을 때, 질소질 비료를 과용한 경우 발생이 증가하며, 답리작 지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병 조건

○ 조기파종 및 조기이앙 ○ 밀파 ○ 질소질 비료 과용

병 징
줄무늬잎마름병
○ 이 병은 걸린 잎은 상하로 노란줄무늬가 나타나며, 새로 나오는 잎은 말린채 펴지지 않고 늘어져 결국에는 말라죽는다. 이 병에 걸린 벼는 키가 작고 분얼이 적으며 결국에는 말라죽는다.
○ 수잉기에 발생하면 잎에 황백색의 줄무늬만 나타나고 심엽이 말라 죽는 경우는 없고, 대개 출수하지 않거나 출수하더라도 기형이 되며 충실한 벼알이 맺히지 않는다.

방 제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이앙시 벼를 얕게 심는다.
○ 생육초기에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삼간다.
○ 조파나 만파를 피한다.
○ 보리밭 및 본답 초기 약제 방제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 매개충의 월동처인 논 주변의 잡초를 제거한다.



벼오갈병 (萎縮病)

벼오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영남 및 호남지역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하고있으며 점차 발생면적과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이 병은 번개매미충과 끝동매미충에 의해 매개 전염되고, 보독충은 논둑의 잡초, 밀밭, 보리밭, 자운영밭 등에서 유충 또는 성충으로 월동하고 봄에 못자리에 나타나 병원바이러스를 매개한다. 이 병은 못자리 말기에도 발생하지만 모내기 후에 많이 발생한다.

발병 조건

○ 이앙답 ○ 박파 ○ 질소질 비료 과용 ○ 사질답 ○ 냉수 관개

병 징

○ 이병된 벼의 잎은 농록색을 띠고, 엽맥을 따라 노란점이 세로로 나타난다. ○ 벼의 생육이 위축되고, 분얼이 많아진다.
○ 출수되지 않는 것도 있고, 출수해도 이삭이 충실하지 못하게 된다.
벼오갈병

방 제


○ 내병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매개곤충인 번개매미충과 끝동매미충을 구제한다.
○ 매개충의 월동처인 논 주변의 잡초 제거한다.
○ 생육초기에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삼간다.
○ 조파나 만파를 피한다.
○ 보리밭 및 본답 초기 약제 방제한다.
○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키다리병 (馬鹿苗病)

이 병은 종자전염병으로 벼를 재배하는 모든 지역에서 분포·발생한다. 주로 개화기에 비산하던 병원균의 분생포자가 볍씨 속에 침입하거나 종자 표면에 붙어서 월동하여 볍씨가 발아할 때 상처를 거쳐 어린 조직에 침입한다. 이 병은 유묘기부터 출수기까지 계속하여 발생한다.

발병 조건

○ 발병 최적온도는 35℃
○ 고온 육묘
○ 조식재배
○ 종자소독 소홀

병 징

○ 병에 걸린 벼는 도장, 위축, 이상신장, 생육정지 등의 현상을 나타낸다.
○ 잎이 담록색을 띠고 가늘게 자라며, 마디사이가 이상신장한다.
○ 성장한 벼에서는 분얼이 적고, 마디는 담갈색으로 변하며 위쪽 마디에서 가근이 나온다.

키다리병
키다리병

방 제

○ 건전한 종자를 채종하여 사용한다.
○ 염수선하고 종자소독을 철저히 한다.
○ 못자리나 본답 초기에 병든 식물은 조기에 제거한다.



벼검은줄오갈병

이 병은 애멸구에 의해 전염되는 바이러스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였지만, 최근에는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바이러스는 애멸구에 의해 영속적으로 매개되나 보독충은 경란전염을 거의 하지 않는다. 애멸구는 논둑의 잡초, 보리밭 등에서 월동하고 봄에 못자리에 나타나 병원바이러스를 매개하며 벼에 산란하고 증식하면서 감염된 벼에서 바이러스를 건전한 벼로 옮기게 된다.


병 징

○ 생육초기에 감염되면 키가 작아지고 분얼이 적어지며, 늦게 감염된 벼는 출수하더라도 결실하지 못한다.

방 제

○ 논둑 잡초를 불태워 월동하는 매개충을 구제한다.
○ 이앙당일 육묘상자에 카보입제를 상자당 100g을 뿌려준다.
○ 조식 및 질소과용을 금하고 이병주는 일찍 제거한다.

벼검은줄오갈병
벼검은줄오갈병


깨씨무늬병

깨씨무늬병은 전국에서 발생하고 특히 사질논이나 노후화답에서 흔히 발생한다. 병에 걸린 짚이나 볍씨에서 균사 또는 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고 분생포자의 공기전염에 의해 2차 전염된다. 이 병은 모·잎·이삭목·볍씨 등에 발생한다. 이 병은 이병된 종자를 소독하지 않은 경우와 피해를 입은 볏짚을 논에 그대로 시용한 경우에 발병이 유인된다. 또한 사질답·누수답·노후화답·배수가 불량한 경우·영양분의 부족하면 발생한다.

병 징

○ 모에서 발생하면 모가 갈변하여 말라죽는다.
○ 잎에는 농갈색 타원형의 뚜렷한 병반이 생긴다.
○ 심할 경우에는 이삭목에도 발생하는데, 이삭목이 갈변한다.
○ 볍씨에 발생하면 표면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방 제
깨씨무늬병
○ 3요소 균형시비를 하고 특히 칼리와 규산질 비료를 충분히 준다.
○ 유기물투입 및 배수 등을 꾀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개량하여 지력을 증진시킨다.
○ 도열병에 준하여 종자소독을 철저히 한다.



벼이삭마름병

이 병은 이삭이 말라죽거나 변색된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삭도열병과 유사하나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여러 가지이며 이병에 걸리면 이삭의 숙색이나빠져서 벼의 등숙이상 현상의 하나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도열병균을 제외한 여러 가지 병원균에 의 해 침해되어 오염, 변색 또는 말라죽는 증 상을 나타내는데 이삭의 ?img src=../../R_images/i_2.gif>括㎰?담갈색 내지 흑갈색의 변색부가 나타나 마치 이삭 리 말라죽은 모양을 나타낸다.
벼이삭마름병



이삭누룩병

이삭누룩병은 일반적으로 벼의 작황이 좋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일명 풍년병이라고도 한다. 이 병은 벼알에만 발생하고 병에 걸린 벼알에 균핵을 형성하며 암록색을 띤다. 이 병은 품종간 차이가 있고 질소질 비료의 과용과 만기재배시 병이 많이 발생한다. 약제방제는 보르젯 분제를 수잉기때 300평당 4kg을 식물체 전체에 충분히 묻도록 뿌려주되, 출수기 이후에는 약해가 우려되므로 살포하지 않는다.



모잘록병

이 병은 물못자리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보온절충못자리나 밭못자리에서 발생되며 볍씨가 발아한후 모의 지제부나 뿌리를 침해하여 모의 선단이 갑자기 건조한 것처럼 되거나 혹은 바늘 모양으로 말리면서 황백색이 되어 고사한다. 이와 같은 모는 쉽게 뽑히고 침해된 부위는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하고 볍씨부분에 붉은색의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다찌가렌이나 다찌밀 분제등 약제를 상토에 적당량 혼화하여 주거나 액제를 파종전 토양관주하거나 파종복토후 토양관주하여 준다.



모썩음병


이 병은 주로 유묘기에 발생하기 쉽고, 특히 파종기의 저온 및 발아까지 소요되는 일수가 지연되고 산소가 부족하며, 미숙퇴비나 발효성 유기질 비료를 시용하거나 기계적 상처를 입은 볍씨를 파종할 경우 병 발생이 쉬어진다. 볍씨가 발아할 때 발생하면 유백색의 교질물이 생기고 백색의 균사가 생기며 배유가 액화되어 소실되고 껍질만 남는다. 따라서 모썩음병을 막으려면 다찌밀 액제나 메타실 수화제 등으로 종자소독을 철저히 하며 지나친 조파를 삼가고 못자리는 햇볕이 잘 들고 수온이 높은 곳 에 설치하여 관개 수온을 높이도록 한다.
이삭누룩병



좀균핵병

병은 주로 지표면에 가까운 벼의 잎집 또는 줄기에 발생한다. 초기에는 수면에 접한 잎집만 흑색으로 변하지만 개화기가 지나면 수면부의 줄기에도 발생하고, 표면에 세로로 긴 흑선이 생기며 이것이 점차 확대되어 결국에는 줄기가 갈변하고 썩는다. 줄기는 연약해지고 병환부는 잘 부러지며, 줄기의 병환부조직 속이나 줄기의 빈 속에는 정구형의 흑색 균핵이 형성된다.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에디펜 유제를 물20ℓ에 20㎖를 잘 섞어 이삭패기 직전부터 이삭팬 후 300평당 140-160ℓ를 뿌려준다. 또한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금하고 칼리질 비료를 충분히 시용하고 생육초기 또는 중기에는 물을 얕게 대고 출수기에는 물을 깊게 대고 낙수기를 늦추어 준다.
좀균핵병
잎마름선충병

이 병은 볍씨에서 월동한 선충이 모의 생장점을 침범하였다가 출수기가 되면 벼알 속으로 들어간다. 벼의 아랫잎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윗잎의 끝이 담활갈색이 되고 윤이 나며 병반이 오래 되면 회갈색으로 변하고 돌돌 말려 결국은 잎이 끊긴 것같이 되어 죽는다. 이 병은 병원선충이 볍씨에서 월동하므로 종자소독을 통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잎마름선충병
잎마름선충병

벼종사용 노약혼용 가부표

2종 혼용
구    분
살균제
살충제
살균
살충제
품 목 명(상 표)
네 오 진 액 제

네 오 아 소 진
바 리 신 액 제

바 리

펜 시 쿠 론 수 화 제

몬 세 렌
·
갈 무 리
훼나진 수 화 제
테 람 수 화 제

시 라 겐
메프 유 제

스 미 치 온 · 호 리 치 온
파 프 유 제

엘 산 · 씨 디 알
다수진 유 제

다 이 아 톤 · 시 니 나
펜치온 유 제

리 바 이 짓 드
그로메 유 제

렐 단
비피 유 제

밧 사 · 멸 사 리 · 한 그 물
부 로 피 수 화 제

아 프 로 밧사
· 아 부 로 비 피 · 금 자 탑
부로엠 수 화 제

멸 사 리 왕
피리다 유 제

오 후 나 크
칼탑 수 용 제

파 단 · 쎄 다
지오신 수 화 제

에 비 섹 트
이소피 유 제
에디피 유 제
하나로 수 화 제

마 디 다




아비비 유제 (키타진·방글·풍마내)
부라딘 액제 (부라에스)
Χ
가 스 신 액 제 (가 스 가 민)
에디펜 유제 (히노산· 나도산)
라 브 사 이 드 수 화 제
이소란 유제 (후치왕)
트 리 졸 수 화 제 (빔·으뜨미·백만석·도열탄)
Χ
파이론 수화제 (코라톺)
가 드 수화제 (올타)
네오진 액제 (네오아소진)
바리신 액제 (바리문)
펜시쿠론 수화제 (몬세렌·갈무리)
훼 나 진 수 화 제
테람 수화제 (시라겐)




메 프 유제 (스미치온·호리치온)
파 프 유제 (엘 산·씨 디 알)
다수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펜치온 유제 (리바이짓드)
Χ
Χ
Χ
그 로 메 유제(렐단)
비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부 로 피 수 화 제 (아프로밧사·아부로비피·금자탑)
부로엠 수화제 (멸사리왕)
Χ
칼탑 수용제 (파단·쎄다)
지오신 수화제 (에비섹트)
○ : 혼용가 Χ : 혼용불가 △ : 혼용즉시 사용가 공란 : 시험중 또는 시험미실시

3•4종 혼용
조 합
아 이 비 유 제
키 타 진

방 글

풍 마 내
에 디 펜 유 제
히 노 산 · 나 도 산
이 소 란 유 제
후 치 왕
라 브 사 이 드 수 화 제
트 리 졸 수 화 제
빔 · 으 뜨 미 · 백 만 석 ·
도 열 탄
3





네 오 진 액 제 (네오아소진)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칼 탑 수용제 (파 단·쎄 다)
Χ
Χ
Χ
-
Χ
바 리 신 액 제 (바 리 문)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Χ
-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
칼 탑 수용제 (파 단·쎄 다)
Χ
Χ
-
Χ
펜시쿠론 수화제 (몬 세 렌)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
칼 탑 수용제 (파 단·쎄 다)
-
Χ
훼 나 진 수화제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Χ
Χ
Χ
테 람 수 화 제 (시 라 겐)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Χ
-
Χ
메 프 유 제 (스미치온·호리치온)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
칼 탑 수 용 제 (파 단·쎄 다)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
4 종 혼 용
네 오 진 액 제 (네오아소진) 훼나진 수화제 다 수 진 유제 (다이아톤·시니나)
-
비 피 유제 (밧사·멸사리·한그물)
-
○ : 혼용가 Χ : 혼용불가 △ : 혼용즉시 사용가 공란 : 시험중 또는 시험미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