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업기술

내용 : 농업기술 게시판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등의 내용 페이지입니다.
제목 재배법-동부-품종선택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작성일 2014-02-11

출처 : 농촌진흥청

 


 품종선택

재래종은 작부체계상 다소 불리한 점도 있지만 조생종 또는 극조생종의 경우에는 한 두 차례 수확하는 가을 채소의 전작 또는 맥류나 담배 등의 후작으로도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래종은 만화형으로서 지주를 세워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여 일반 농가에서는 흔히 울타리나 다른 작물과의 간·혼작형태로 소규모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파종 및 시비

     파종

동부는 타화수정율이 높은 편이므로 종자의 선별에 유의해야 하며, 건전하고 충실한 것을 채종해야 한다. 종자는 베노람수화제를 종자무게의 0.4% 정도 되게 분의소독하여 파종한다. 동부는 저온발아성이 약하므로 파종기가 남부지방에서는 4월 하순, 중부지방에서는 5월 상순이며, 도입직립종은 6월 하순경이다.

파종방법으로는 직립 조생종일수록 밀식하는 것이 유리하고 덩굴성 만생종일수록 소식하는 것이 유리하다. 직립형의 경우 적파(5월 5일 파종)에서는 휴폭 60cm에 주간거리 25cm 간격으로, 만파(6월 20일 파종)에서는 휴폭 60cm에 주간거리 20cm 간격으로 2립씩 점파하고(충북농업기술원, 1984-1985). 만성형의 경우 휴폭 60∼70cm에 주간거리 30∼45cm로 점파하되, 파종깊이는 3∼5cm로 한다. 토양이 너무 습하면 생육에 나쁘므로 배수가 잘되도록 해야 한다.


     시비 및 관리

동부는 질소, 인산, 가리에 대한 비료반응이 매우 커서, 종실 100kg당 질소 5kg, 인산 1.7kg, 칼리 4.8kg을 흡수한다. 동부는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 능력이 콩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므로 10a당 질소질비료를 3∼5kg을 기비로  시용하고, 인산 및 가리는 콩에 준하여 시비한다.

장협동부의 경우는 여러 번 꼬투리를 수확하므로 추비를 시용하여야 결실이 잘 되므로 매 20일 간격으로 질소 10∼15kg과 칼리를 5kg씩(중국의 예) 시용한다.


 재배관리

출아 후 초엽전개기에 솎기(1주에 1본만 남김)와 보식을 하며, 파종후 3주에 1차로 중경제초작업을 한다. 이때 너무 깊게 갈아주면 뿌리가 끊어져 나쁘다. 이후는 밭의 잡초 생육정도를 보고 제초를 한다. 만성형 품종의 경우에는 지주를 세워 준다.

동부는 제초제에 비교적 민감한데, 우리나라에서는 동부에 시용할 수 있는 제초제로 공시된 것이 없다. 외국의 경우 파종전 토양혼화제로 trifluralin이 시용되고, 파종후 출아전 처리제로 chloramben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동부의 경우 적심을 하지 않으나, 장협동부는 영양생장을 조절하고 개화결실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심을 한다. 적심을 할 때 제1화서  이하의 측지는 전부 제거한다. 주경이 2∼3m가 넘게 되면 적심을 하여 주경의 생장을 억제 시킨다.

 작부체계
동부는 재래 조생종 또는 극조생종의 경우는 가을채소의 전작 또는 맥류나 담배의 후작으로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래종은 만성형으로 지주를 세워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여 일반 농가에서는 흔히 울타리나 다른 작물과의 간, 혼작형태로 소규모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병해충방제
      
병해

        잘록병(위고병;Rhizoctoniasolani)·동부모자이크바이러스병·탄저병( Choanephoracucurbitarum) 등이
        발생하므로 종자소독, 살균제 살포 등 콩이나 팥에 준하여 방제한다.


       충해

     팥명나방, 진딧물, 톱다리허리노린재 등이 발생하여 꼬투리나 줄기를 가해하고 바이러스를 옮기며, 저장 중에는 바구미가 심히 발생하므로 살충제를 살포하는 등 콩이나 팥에 준하여 방제한다.


 수확탈곡조제

ball02a.gif수확 및 조제

종실을 이용하는 보통동부는 꼬투리가 황갈색으로 변화되면 성숙한 것이므로 성숙하는 대로 3∼4회 정도 수확한 후 뽑거나 예취 건조한 후 탈곡한다. 수확이 늦어지면 병이 심하게 발생하고 종실의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제때에 수확하여야 한다. 탈곡한 종실은 잘 건조시켜야 저장 중에 바구미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장협동부는 여름에는 개화 후 12∼14일이면 풋꼬투리의 수확이 가능하고, 가을에는 개화 후 20일경에 풋꼬투리의 수확이 가능하다. 장협동부의 어린 꼬투리는 8℃에서 약 8일간 저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