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업기술

내용 : 농업기술 게시판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등의 내용 페이지입니다.
제목 콩이란-콩의 특성해설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작성일 2014-02-10

출처 : 농촌진흥청


 

 형태적 특성
 
 
떡잎의 전개
 
발아후 2매의 떡잎이 지상부로 돌출한다.
떡잎이 지상부에 펼쳐진 후 직각의 방향으로 두개의 초엽이 발생한다.
그후 3편의 소엽으로된 제1복엽이 발생하고 줄기마디 순으로 제2, 제3...복엽 순으로 발생되게 된다.
 
원엽 중간엽 장엽
잎의 모양은 원엽, 중간엽, 장엽으로 구분된다.
 
 줄기

줄기

원줄기 마디수는 13∼20개 정도이고 길이는 30~90㎝ 정도이나 넝쿨성일 때는 2m에 달한다.

가지의 수 및 길이는 품종에 따라 다르고 원줄기의 3∼9마디에서 많이 발생한다.

콩의 줄기는 원줄기와 가지로 나누어지며 줄기의 마디에서 꽃이피고 꼬투리가 맺는다.
 
 뿌리와 근류
 
뿌리는 주근과 측근으로 나누어지며 뿌리는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여 식물체를 자라게하고 쓰러짐을 방지한다.
토양의 조건이 좋으면 주근은 150㎝에 달하며 측근은 수평으로 줄기를 중심으로하여 약 35㎝정도 자란다.
뿌리가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층은 지하 7.5㎝범위로 뿌리의 무게로 보면 약 80%를 차지하는 천근성작물이다.
콩뿌리는 자엽 하부의 배축에서 발생하는 정근, 자엽상부의 줄기하부에서 발생하는 부정근이 있으며배토를하면 부정근이 발생하여 뿌리가 많아진다.
근류착생초기 착협기의 근류 착색
 
발아후 15∼20일이면 근류가 보이기 시작하여 보통 직경이 4∼5㎜에 달하며 근류 내부에는 근류균이 기생한다.
  근류에 의한 고정질소의 이용은 식물체에 함유된 질소의 30∼70%에 해당되므로 고정질소가 콩에대해서중요한 역할을 한다.
 
 
 
콩꽃은 개화전 약 25일 전후에 꽃눈이 분화한다.
꽃색은 백색과 자색으로 구분하여 수술이 10개이고 암술이 1본으로 기부에 자방이 있다.

자색꽃 백색꽃 꽃의구조

1. 기판
2. 익판
3. 용골판
4. 암술대
5. 수술대
6. 꽃받침

 
한포기에서 꽃수는 많지만, 임실협수의 비율을 결협율 이라고 하는데 그 결협율이 낮은 것이 콩의 특징 이다. 그 결협율은 약 30%로 보고 있다. 
낙협율을 줄이는 방법은 환경조건의 개선이다.
 
 꼬투리와 종실
담갈색 흑색 갈색 황색
 
꼬뚜리색은 황색에서 흑색까지 여러 가지 색이 있다. 
콩 꼬투리는 개화후 20일경에 최대에 달하며 종실은 꼬투리 신장이 끝나면서 급히 비대한다.
한 꼬투리속에 종실은 1∼3립이 보통 들어 있으며, 4∼5립이 들어 있는것도 있다.
종실은 종피와 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유는 수정후 20일이 경과하면 소실되고 배가 대부분이며 무배유종자를 형성한다.
종실중의 90%를 점유하고 있는 2매의 자엽은 발아할 때 중요한 양분의 공급원이 된다
 
황색 갈색 녹색 황녹 황백
 
흑색 흑반 담흑반 갈반 줄무늬
 
종피색은 황, 황백, 황녹, 녹, 농녹, 갈, 적갈, 흑색 등 넓은 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종피색중 반점(Saddle),갈반, 줄무늬(Stripe) 등의 무늬형태가 있다.
 
눈색의 구분 과 배꼽 흔적
 
눈색은 황, 담갈, 갈, 흑색 등이 있으며, 눈부분에 배꼽흔적이 있는 품종도 있다.
100알무게로 표시되는 종실의 크기는 10g 이하의 극소립에서부터 50g 이상의 극대립종이 있다.
 
 생리적 특성
 
 온도
 
<1>발아온도
 발아는 30∼35! 가 적온이며, 15! 이하에서는 지연되고, 10! 이하에서는 불량하다. 
포장에서는 지온에 의해 좌우된다.
 
<2>생육온도
콩의 생장 및 개화적온은 20∼25! 사이에 있다. 꽃눈분화를 위해서는 15! 이상 25! 전 후의 온도가 필요하다.
지상부나 뿌리의 생육에는 22∼27! 가 알맞다.
 
(표 2-1) 콩의 생육단계별 최적온도 (Holmberg, 1973)

생육단계

온도(℃)

최저

최적

발 아 기

화 아 분 화 기

개 화 기

종 자 형 성 기

성 숙 기

6∼7

16∼17

17∼18

13∼14

8∼9

20∼22

21∼23

22∼25

21∼23

19∼20

 
 일반반응
 
콩은 단일성 식물이다. 일장이 짧은 조건에서는 개화까지의 일수가 단축된다.
10시간 이내의 단일조건이면 대부분의 콩은 30일 이내에 꽃이 피지만, 16시간 이상이면 꽃이 피지 않는 품종이 많다.
우리나라의 콩 파종은 낮길이가 15시간에 가까운 하지 전후에 맥후작으로 파종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같은
경우 하지 이전에 파종하면 낮의 길이가 길어질 때이므로 영양생장을 충실하게 하지만 이후에 파종하면낮길이가 짧아지므로 개화가 빨라지고 영양생장이 적어 소출이 크게 떨어지는원인이 된다.
 
 토양수분
 
콩은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작물이다. 건물중 1g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요수량(要水量)  이라고 하는데 콩의 요수량은 704이다. 그러나 밀, 보리, 옥수수와 같은 화본과 식물은 400 이하가 되기 때문에콩은 약 2배의 수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콩 생육에 알맞은 토양수분은 포화수분의 70%이다.
콩 식물체로부터 수분의 증발산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고 개화시부터 황엽기에 걸쳐 약 1개월간에전 생육기간에 흡수하는 수분의 약 80%를 흡수한다.
토양수분의 부족은 생육초기에서는 줄기 길이와 총마디수를 적게 하고 꽃눈의 분화기에서 개화기 까지에서는 낙화가 많아지고 결실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동화작용과 뿌리에서의 양 분의 흡수를 나쁘게 한다.
과습으로 인한 나쁜 영향은 건조 때보다 크고 특히 초생엽의 전개 직후와 꽃눈분화 직후에 크다.
콩은 토양의 산성에는 어느 정도 강한 편이나 최적 PH는 6.0∼6.5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