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업기술

내용 : 농업기술 게시판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등의 내용 페이지입니다.
제목 고추재배 저온 및 동해대책
작성자 농업기술센터 작성일 2014-02-05

1. 저온, 동해피해기작

고추는 -0.7~-1.85℃ 정도의 저온에서 잎 등에 동해를 입는데, 저온에 의해 식물조직이 결빙하면 세포간극에 먼저 결빙(세포외 결빙)이 생기고, 이것이 신장하여 원형질내부로 침투하여 세포원형질 내부에 결빙(세포내 결빙)을 유발한다. 세포결빙이 생기면 원형질 구성에 필요한 수분이 동결하여 원형질의 응고 및 변화가 생겨서 원형질의 구조가 파괴되어 세포가 죽는다. 서서히 동결되는 경우에는 세포 내 수분의 투과·탈수가 잘 진행되어 세포의 결빙이 용이해져 세포 결빙이 생기기 어려우나, 급히 동결 될 때에는 세포내 결빙이 생기기 쉬워 동사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2. 저온, 동해피해증상

고추는 -0.7~-1.85℃ 정도의 저온에서 잎 등에 동해를 입는데, 저온에 의해 식물조직이 결빙하면 세포간극에 먼저 결빙(세포외 결빙)이 생기고, 이것이 신장하여 원형질내부로 침투하여 세포원형질 내부에 결빙(세포내 결빙)을 유발한다. 세포결빙이 생기면 원형질 구성에 필요한 수분이 동결하여 원형질의 응고 및 변화가 생겨서 원형질의 구조가 파괴되어 세포가 죽는다. 서서히 동결되는 경우에는 세포 내 수분의 투과·탈수가 잘 진행되어 세포의 결빙이 용이해져 세포 결빙이 생기기 어려우나, 급히 동결 될 때에는 세포내 결빙이 생기기 쉬워 동사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표 1.단위결과에 미치는 야온의 영향 (1966, 고시)

단위결과에 미치는 야온의 영향 (1966, 고시)
품 종 13℃ 18℃ 23℃
종자수(개) 단위결과(%) 종자수(개) 단위결과(%) 종자수(개) 단위결과(%)
십시개량 0 100.0 58.5 0 89.9 0
창 개 0.8 78.5 102.0 0 91.2 0
서 기 0 100.0 48.0 0 163.0 0
녹 왕 0 100.0 79.0 0 208.3 0

3. 대책

저온해를 피하기 위해서 시설내의 밀폐된 공간에서는 보온 및 가온을 하나, 노지에서는 대면적이기 때문에 특별한 시설을 만들어 회피하기는 어렵다. 저온해 방지를 위한 조치로서 첫째, 내저온성의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것이고, 둘째, 재배지역의 만상일을 피하여 적기에 정식하는 것이고, 셋째, 포장 주변에 방풍시설을 하여 찬바람을 막아주고, 넷째, 토질을 개선하여 서릿발의 발생을 경감시키는 것 등이다. 그 외의 방법으로서,

  1. 관계법 : 저녁에 충분히 관계하면 물이 가진 열이 가해지고, 지중열을 빨아 올리며, 수증기가 지열의 발산을 막아서 약한 서리를 막는 방법,
  2. 발연법 : 불을 피우고 젖은 풀이나 가마니를 덮어서 수증기를 많이 함유한 연기를 발산시키면 열이 보태지고, 수증기가 지열의 발산을 경감시켜 2℃ 정도 온도가 상승되며 서리를 막는 방법,
  3. 송풍법 : 동상해의 위험기에는 지면 가까이보다 상공의 공기가 따뜻하기 때문에 지상 10m 정도에서 프로펠러 를 회전시켜 따뜻한 공기(지면보다 3~4℃ 높음)를 지면으로 송풍하여 서리를 막는 방법,
  4. 피복법 : 저온에 의한 피해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부직포나 비닐등으로 임시로 막덮기를 실시하여 동상해를 막 는 방법,
  5. 연소법 : 폐타이어, 중유, 폐목재 등을 연소시켜 알맞게 열을 공급하면 -3~-4℃ 정도의 동상해를 막을 수 있 는 방법,
  6. 살수빙결법 : 물이 얼때는 1g 당 80cal의 잠열이 발생하는데 스프링클러 등에 의해서 저온이 지속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살수하여 식물체 표면에 결빙을 지속시키면 식물체의 기온이 -7~-8℃ 정도라도 0℃ 정도를 유지 하여 동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잘하면 가장 균일하고 가장 큰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 출처 : 고추재배전서-경상북도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